조선중앙통신은 국가비상방역사령부를 인용해 그제인 지난 23일 양강도에서 악성 전염병으로 의심되는 발열 환자가 4명 발생했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발열자 발생 지역을 즉시 봉쇄하고, 의심 환자들을 대상으로 핵산 검사와 유전자 염기 배열 분석 등을 진행하면서 발병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, 발열 환자들이 악성 전염병, 즉 코로나19에 걸리지 않았던 사람들이라는 데 주목하면서 발병 원인이 조사 확정될 때까지 해당 지역에서 인원 유동을 엄금하도록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전국적 범위에서 방역 실태를 구체적으로 분석한 것을 토대로 악성 바이러스 전파가 종식된 이후 악성 전염병 감염자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, 국가비상방역사령부는 역학 전문가와 바이러스 전문가, 검사 전문가들을 환자 발생지역에 급파하고, 접촉자들과 해당 지역을 다녀온 대상들을 빠짐없이 찾아내 의학적 감시를 엄격히 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북한은 코로나19 발생 사실을 공개하고 최대 비상방역체계를 가동한 지 석 달 만인 지난 10일 전국비상방역총화회의를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회의를 주재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악성 전염병 위기가 완전히 해소됐다며, 방역 전쟁 종식을 선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최대비상방역체계를 해제하고, 방역 등급도 긴장 강화된 정상방역체계로 낮췄는데, 그로부터 보름 뒤 코로나19 의심 환자가 다시 생겼다고 공식 발표한 겁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 의심 환자가 발생한 양강도는 압록강과 두만강을 경계로 중국과 맞닿아 있는 접경지역입니다. <br /> <br />때문에 중국과의 밀무역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유입됐을 수 있다는 추측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어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최근 중국에서 '랑야 헤니파 바이러스' 감염 사례가 확인됐다며, 다른 유행병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라고 설명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북한이 앞으로도 주민들을 상대로 전염병에 대한 경각심을 계속 일깨우면서 북중 또는 남북 접경지역 통제 단속은 더욱 강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통일부에서 YTN 홍주예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0825113813166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